스토리지 풀과 볼륨을 설정을 마치고 나면 본격적으로 파일 공유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DSM에서 File Station을 처음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공유 폴더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확인을 눌러서 공유 폴더 생성 마법사의 기본 정보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이동 후 공유폴더의 이름을 정하고 볼륨을 선택해 줍니다. 저는 볼륨을 1개만 생성했기 때문에 1개만 조회가 됩니다.

기본적으로 휴지통 활성화만 체크해준상태에서 다음으로 진행합니다.

 

다음은 암호화입니다.

암호화를 할 경우 보안은 좋아지겠지만 성능이 감소합니다. 저는 사용하지 않고 진행하겠습니다.

 

고급 설정 구성입니다.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체크섬 활성화가 있습니다.

비디오 저장이나 DB 또는 VMM을 사용할 경우는 활성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저의 경우는 DB 용으로 사용할 예정이라 체크하지 않았습니다.

 

진행하면 설정 확인이 나옵니다.

설정한 내용이 맞는지 확인 후 다음으로 진행합니다.

 

사용자 권한 구성입니다.

우선 admin / guest는 권한을 주지않고 초기 설치 과정에서 관리자 계정만 생성해놨기 때문에 관리자 계정에 읽기/쓰기 권한을 체크합니다

 

이제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다시 파일 스테이션으로 들어가보면 잘 접속 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폴더를 생성해보겠습니다.

녹색 박스의 생성 -> 폴더생성을 클릭합니다.

 

생성할 폴더의 이름을 작성 후 확인을 합니다.

 

아래와 같이 폴더가 잘 생성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윈도우 파일 탐색기에서 나스의 공유폴더로 접근해 보겠습니다.

윈도우 탐색기를 실행후 경로 창에 나스의 내부 ip주소를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192.168.0.174

그러면 네트워크 자격 증명 입력창이 팝업되고 공유 폴더 권한 설정때 읽기/쓰기 권한을 주었던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접속을 하게되면 나스 볼륨1의 모든 폴더가 탐색기에 나타납니다.

현재는 파일 스테이션만 설정해두었기 때문에 다른 폴더는 보이지 않습니다.

생성한 파일스테이션 이름으로 들어가면 조금전에 나스에서 생성한 Data 폴더가 보입니다.

 

이제 나스에 저장하고 싶은 파일들을 해당 나스의 파일스테이션 폴더에 옴겨서 저장 관리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시놀로지 나스의 설치가 완료되어 로그인 후 초기 설정 방법입니다.

 

설치 후 나스의 로그인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면 브라우저 검색창에 Synology Web Assistant (https://finds.synology.com)을 통해서 아래와 같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에 나스 DSM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위 화면의 연결을 눌러서 설정했던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 합니다.

 

처음 로그인을 하면 나스의 스토리지 풀과 볼륨을 만들어야 합니다.

지금 생성을 눌러서 저장소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아래와 같이 저장소 만들기 마법사의 스토리지 풀과 볼륨 생성을 시작합니다.

시작을 누른 후 스토리지 풀 속성 구성을 선택합니다.

DS220+는 총 2bay 제품으로 (하드디스크가 2개 설치가능) 설정할 수 있는 RAID 유형이 5종류입니다.

시놀로지에서 제공하는 레이드 유형은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녹색 표시가 DS220+가 지원하는 레이드 유형)

저는 SHR로 구성해 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저장 자료의 안전을 위해 허용 가능한 드라이브 오류가 1 이상인 레이드 유형의 선택을 추천드립니다)

 

레이드 유형을 선택했다면 선택한 레이드 유형에 맞는 드라이브 수량을 선택해야 합니다.

SHR같은 경우는 최소 1개부터 선택이 가능하지만 저는 드라이브를 2BAY 설치하였으니 2개의 드라이브를 모두 선택하겠습니다. (레이드 유형에 따른 장단점은 추후 별도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이후 드라이브 검사를 수행하고

볼륨 용량 할당을 진행합니다. 할당크기는 최대치로 사용합니다.

2TB HDD를 2개 설치하였지만 실제 사용가능한 용량은 4TB가 아닌 1.8528TB입니다.

2TB HDD에 DSM OS를 설치하고 실제 사용가능한 용량은 약 1.85TB입니다. HDD를 2BAY에 설치하고 레이드 유형을 SHR로 구성하여 현재 RAID1 처럼 동작합니다. 각 HDD에 동일한 데이터가 중복되어 쓰여지고 만약 1개의 하드디스크가 고장이 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습니다.

파일시스템은 Btrfs와 ext4를 지원합니다. 권장인 Btrfs를 선택합니다.

 

최종적으로 설정 내용을 확인한 후 적용합니다.

만약 설치된 하드디스크에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다면 포맷되기 때문에 꼭 확인해주셔야 합니다. 하드디스크를 포맷해도 괜찮다면 확인을 누릅니다.

잠시 로딩을 기다리면 완료됩니다.

 

스토리지 풀과 볼륨을 설정하였습니다.

 

다음은 파일 스테이션 설정을 포스팅 하겠습니다.

 

Synology NAS DS220+
Synology DS220+

소개

 

NAS란 네트워크에 연결된 스토리지 기기로, 권한이 있는 네트워크 사용자와 여러 클라이언트가 중앙 집중화된 위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게 합니다.

 

간략한 NAS의 기능

  • 파일 저장 및 공유
  • Audio / Video Station을 통한 음악 및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 Synology Photos를 통한 사진 관리 및 저장
  • IP 카메라를 사용한 비디오 녹화
  • 웹사이트 호스팅

Synology, QNAP, Netgear, Drobo 등과 같은 NAS 제작 회사들이 있고 이번 글은 Synology의 DS220+ 제품의 최초 연결 후 설정 및 기본 세팅에 대해 기록하겠습니다.

 

시놀로지 나스는 DSM (DiskStation Manager) 이라는 운영체제로 동작합니다. 이 운영체제 때문에 시놀로지 나스를 구매한다하여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많은 기능과 안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2년 7월 20일 기준 최신버전은 DSM 7.1입니다.

 

 

설정

 

시놀로지 나스에 HDD를 장착한 후 나스에 접속할 PC와 동일한 공유기에 LAN을 연결해 줍니다.

그 다음 Synology Web Assistant (http://find.synology.com)을 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시놀로지 나스를 찾습니다. 

Synology NAS 설치 과정
NAS 검색
Synology NAS 설치 과정
검색 완료 후 연결된 NAS의 정보

만약 아래와 같이 찾지 못한다면 시놀로지 나스를 PC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하였는지, 나스의 전원은 켰는지, 나스의 부팅은 끝났는지 (부팅 완료시 비프음이 들립니다) 확인해야 합니다.

Synology NAS 설치 과정

연결을 누르면 나오는 사용자 사용권 계약과 개인 정보에 동의 후 다음을 누르시면 됩니다

Synology NAS 설치 과정

아래와 같이 화면이 뜨면 바로 설정으로 넘어가 줍니다.

Synology NAS 설치 과정

DSM 운영체제를 나스에 설치된 하드디스크에 설치 과정 입니다.이 과정에서 HDD를 포맷하기 때문에 만약 하드디스크에 중요한 자료가 있다면 따로 백업후 진행하시는게 좋습니다.

 

-- 사진 추가필요 (운영체제 설치 및 HDD 포맷 경고)

 

설치를 진행하면 아래와 같이 설치 진행상황과 설치 완료 후 NAS 재시작을 위한 시간이 표시됩니다.

Synology NAS 설치 과정
Synology NAS 설치 과정

재부팅이 완료되면 나스에서 비프음이 한번 들리고 아래와 같은 패키지 시작중 창으로 바뀝니다.

Synology NAS 설치 과정

 DSM 7.1 버전으로 설치되었네요! 

Synology NAS 설치 과정

이제 설치된 나스의 이름과 관리자 계정을 추가합니다.

Synology NAS 설치 과정

업데이트도 권장 설정으로 선택해 줍니다.

Synology NAS 설치 과정

시놀로지 계정 로그인 페이지입니다. 만약 시놀로지 계정이 없다면 하나 만들어 두시는걸 추천드립니다.

Synology NAS 설치 과정

전 기존 사용하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아래와 같은 로딩 창이 나옵니다.

Synology NAS 설치 과정

퀵 커넥션 설정 페이지입니다. 집 말고 외부에서도 나스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외부에서도 내 나스의 파일 공유, 스트리밍, 사진 등 여러가지 기능을 공인 아이피 없이도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시놀로지 서버를 경유하기 떄문에 속도는 집보다 느리긴합니다..) 원하시는 주소를 입력하여 설정해 줍니다.

Synology NAS 설치 과정

기타 설정입니다. 이 부분은 추후 기능 설정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Synology NAS 설치 과정

제출을 완료하고 아래와 같이 로그인 페이지가 나오면 모든 초기 세팅이 완료되었습니다.

아까 만들어 둔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Synology NAS 설치 과정
Synology NAS 설치 과정

여기까지가 시놀로지 나스 DS220+의 설치 과정이었습니다.

 

로그인 이후 초기 세팅은 다음 포스팅에서 알아보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