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 풀과 볼륨을 설정을 마치고 나면 본격적으로 파일 공유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DSM에서 File Station을 처음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공유 폴더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확인을 눌러서 공유 폴더 생성 마법사의 기본 정보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이동 후 공유폴더의 이름을 정하고 볼륨을 선택해 줍니다. 저는 볼륨을 1개만 생성했기 때문에 1개만 조회가 됩니다.
기본적으로 휴지통 활성화만 체크해준상태에서 다음으로 진행합니다.
다음은 암호화입니다.
암호화를 할 경우 보안은 좋아지겠지만 성능이 감소합니다. 저는 사용하지 않고 진행하겠습니다.
고급 설정 구성입니다.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체크섬 활성화가 있습니다.
비디오 저장이나 DB 또는 VMM을 사용할 경우는 활성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저의 경우는 DB 용으로 사용할 예정이라 체크하지 않았습니다.
진행하면 설정 확인이 나옵니다.
설정한 내용이 맞는지 확인 후 다음으로 진행합니다.
사용자 권한 구성입니다.
우선 admin / guest는 권한을 주지않고 초기 설치 과정에서 관리자 계정만 생성해놨기 때문에 관리자 계정에 읽기/쓰기 권한을 체크합니다
이제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다시 파일 스테이션으로 들어가보면 잘 접속 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폴더를 생성해보겠습니다.
녹색 박스의 생성 -> 폴더생성을 클릭합니다.
생성할 폴더의 이름을 작성 후 확인을 합니다.
아래와 같이 폴더가 잘 생성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윈도우 파일 탐색기에서 나스의 공유폴더로 접근해 보겠습니다.
윈도우 탐색기를 실행후 경로 창에 나스의 내부 ip주소를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192.168.0.174
그러면 네트워크 자격 증명 입력창이 팝업되고 공유 폴더 권한 설정때 읽기/쓰기 권한을 주었던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접속을 하게되면 나스 볼륨1의 모든 폴더가 탐색기에 나타납니다.
현재는 파일 스테이션만 설정해두었기 때문에 다른 폴더는 보이지 않습니다.
생성한 파일스테이션 이름으로 들어가면 조금전에 나스에서 생성한 Data 폴더가 보입니다.
이제 나스에 저장하고 싶은 파일들을 해당 나스의 파일스테이션 폴더에 옴겨서 저장 관리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IT > NAS : Syn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시놀로지 나스 (Synology NAS) 초기 설정 방법 - 세팅, 스토리지 풀, 볼륨 (DS1522+) (0) | 2022.07.29 |
---|---|
05. 시놀로지 나스 (Synology NAS) 개봉기 (DS1522+) (0) | 2022.07.28 |
04. 시놀로지 나스 (Synology NAS) MariaDB 설정 방법 - MySQL, phpMyAdmin (DS220+) (0) | 2022.07.27 |
02. 시놀로지 나스 (Synology NAS) 초기 설정 방법 - 스토리지 풀과 볼륨 만들기 (DS220+) (0) | 2022.07.27 |
01. 시놀로지 나스 (Synology NAS) 초기 설정 방법 - NAS 시작하기 (DS220+) (0) | 2022.07.20 |